Anne.S 2021. 9. 4. 10:54

[ 고1 ]_9월 (2020)__[ 40번 ]

 

❶ One way that music could express emotion is simply through a learned association.

❷ Perhaps there is nothing naturally sad about a piece of music in a minor key, or played slowly with low notes.

❸ Maybe we have just come to hear certain kinds of music as sad because we have learned to associate them in our culture with sad events like funerals.

❹ If this view is correct, we should have difficulty interpreting the emotions expressed in culturally unfamiliar music.

❺ Totally opposed to this view is the position that the link between music and emotion is one of resemblance.

❻ For example, when we feel sad we move slowly and speak slowly and in a low-pitched voice.

❼ Thus when we hear slow, low music, we hear it as sad.

❽ If this view is correct, we should have little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emotion expressed in culturally unfamiliar music.

 

                                      ⬇︎

 

❾ It is believed that emotion expressed in music can be understood through a (A) culturally learned association or it can be understood due to the (B) similarity between music and emotion.

 

 

 

 

 

 

[ 문화적 연관성 이론 ]    음악이 감정을 표현할 수 있는 한 방법은 단지 학습된 연관을 통해서이다.

[ 단조 음악, 슬픔? ]   단조나 낮은 음으로 느리게 연주된 악곡에 대해 본질적으로 슬픈 무언가가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 문화적 학습, 장례식, 슬픔과 연관 ]  우리는 어떤 종류의 음악을 슬프다고 듣게 되는데 우리가 우리의 문화 속에서 그것들을 장례식과 같은 슬픈 일과 연관시키는 것을 학습해 왔기 때문일 것이다. 

[ 문화적 학습, 친숙하지 않은 음악, 이해의 어려움 ]   만약 이 관점이 옳다면, 우리는 문화적으로 친숙하지 않은 음악에 표현된 감정을 이해하는데 분명 어려움이 있을 것이다.

[ 음악과 감정의 유사함 ]  이 관점과 완전히 반대되는 입장은 음악과 감정 사이의 연결고리는 유사함이라는 것이다.

[ 슬픔과 표현 ]   예컨대, 슬프다고 느낄 때 우리는 느리게 움직이고 낮은 음의 목소리로 느리게 말한다.

[ 느리고 낮은 음악을 들을 때의 느낌 ]   따라서 우리가 느리고 낮은 음의 음악을 들을 때, 우리는 그것을 슬프게 듣는다.

[ 유사성 이론,  친숙하지 않은 음악, 이해할 수 ]   만약 이 관점이 옳다면, 우리는 문화적으로 친숙하지 않은 음악에 표현된 감정을 이해하는데 분명 어려움이 거의 없을 것이다.

 

→ ❾ [ 음악 속 감정을 이해하는 2가지 방법, 문화적으로  학습된 연관성, 음악과 감정의 유사성 ]

        음악에 표현된 감정은 문화적으로 학습된 연관을 통해서 이해될 수 있다고 믿어지거나, 혹은 음악과 감정 사이의 유사성 때문에 이해될 수 있다고 믿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