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2_6월 ]/[고2_6월 (2023) ] 모의고사 읽기

2023년 6월 모의_[ 고2 ]_23번

Anne.S 2023. 6. 24. 18:18

necessity of using a common language to integrate the curriculum

❶ Education must focus on the trunk of the tree of knowledge, revealing the ways in which the branches, twigs, and leaves all emerge from a common core.

❷ Tools for thinking stem from this core, providing a common language with which practitioners in different fields may share their experience of the process of innovation and discover links between their creative activities.    

❸ When the same terms are employed across the curriculum, students begin to link different subjects and classes.

❹ If they practice abstracting in writing class, if they work on abstracting in painting or drawing class, and if, in all cases, they call it abstracting, they begin to understand how to think beyond disciplinary boundaries.

❺ They see how to transform their thoughts from one mode of conception and expression to another.

❻ Linking the disciplines comes naturally when the terms and tools are presented as part of a universal imagination.

 

 

 

다양한 분야 교육과정에서 동일한 용어 사용의 필요성

❶ 교육은 나뭇가지, 잔가지, 잎이 모두 공통의 핵심에서 나오는 방식을 밝히면서, 지식의 나무 줄기에 초점을 맞춰야 한다.

❷ 다양한 분야의 실무자들이 혁신 과정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고 그들의 창의적 활동 사이의 연결 고리를 발견할 수 있는 공통 언어를 제공하면서, 사고를 위한 도구는 이 핵심에서 비롯된다.

❸ 교육과정 전반에 걸쳐 동일한 용어가 사용될 때, 학생들은 서로 다른 과목들과 수업들을 연결하기 시작한다.

❹ 글쓰기 수업에서 추상을 연습하고, 회화나 그림 그리기 수업에서 추상을 연습하고, 그리고 모든 경우에 그들이 그것을 추상이라고 일컫는다면, 그들은 학문의 경계를 넘어 사고하는 방법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❺ 그들은 그들의 생각을 하나의 개념과 표현 방식에서 다른 방식으로 바꾸는 방법을 알게 된다.

❻ 용어들과 도구들이 보편적 상상력의 일부로 제시될 때 학문들을 연결하는 것은 자연스럽게 이루어진다.

 

 



trunk
reveal
branch
twig
emerge
common
core
stem from
practitioner
field
innovation
employ
curriculum
abstract
disciplinary
boundary
transform
term
present
universal
imagination


(나무의) 줄기
밝히다, 드러내다
나뭇가지
잔가지
나오다, 드러나다
공통의
핵심, 중심
~에서 비롯되다
실무자
분야
혁신, 쇄신
사용하다, 이용하다
교과 과정
추상하다
학문의, 교과의
경계(선)
바꾸다, 변화시키다
용어
제시하다
보편적인, 일반적인
상상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