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BS_수특라이트 영독/[11강]__[수특라이트 영독 ]

[11강]__[1번]__수특라이트 영독

Anne.S 2024. 5. 31. 02:15

the unhappiness caused by the overuse of social media

The problem is not that using social media directly makes us unhappy.

Indeed, as the positive studies found, certain social media activities, when isolated in an experiment, modestly boost well-being.

The key issue is that using social media tends to take people away from the real-world socializing that’s massively  more valuable.

As the negative studies imply, the more you use social media, the less time you tend to devote to offline interaction, and therefore the worse this value deficit becomes leaving the heaviest social media users much more likely to be lonely and miserable.

The small boosts you receive from posting on a friend’s wall or liking their latest Instagram photo can’t come close to compensating for the large loss experienced by no longer spending real-world time with that same friend.

As Shakya summarizes: “Where we want to be cautious ... is when the sound of a voice or a cup of coffee with a friend is replaced with ‘likes’ on a post.”

 

 

 

소셜 미디어의 과다 사용으로 인한 불행

문제는 소셜 미디어를 사용하는 일이 직접적으로 우리를 불행하게 만든다는 것이 아니다.

실제로, 긍정적인 연구에서 발견한 바와 같이, 특정 소셜 미디어 활동은 실험에서 따로 분리될 때 행복도를 약간 높여 준다.

중요한 문제는 소셜 미디어 사용이 사람들을 대단히 가치가  더 많은 현실 세계의 사교 활동에서 멀어지게 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부정적인 연구 결과가 시사하듯, 소셜 미디어를 더 많이 사용할수록 오프라인 교류에 더 적은 시간을 바치는 경향이 있으며, 그 결과 이러한 가치 부족이 더 악화되어 소셜 미디어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 사람이 외롭고 비참하게 되기가 훨씬 더 쉬운 상황이 된다.

친구의 (페이스북) 담벼락에 포스팅하거나 그들의 최신 인스타그램 사진에 좋아요를 누르는 데서 여러분이 받는 작은 격려가 그 동일한 친구와 더는 현실 세계 시간을 보내지 않는 데서 생기는 큰 손실을 거의 메울 수 없다.

Shakya가 요약하듯 우리가 주의해야 하는 부분은목소리 혹은 친구와의 커피 한 잔이 포스팅 글에 붙는 좋아요로 대체되어지는 때이다.”

 



isolate
modestly
boost
socializing
massively
imply
devote
interaction
deficit
miserable
compensate


(별도로 알아보거나 다루기 위해 상황·문제·생각 등을) 분리[구분]하다
약간, 작게
높이다; 격려
사교 활동
대단히, 크게
시사하다, 의미하다
바치다, 할애하다
교류, 상호 작용
부족
비참한
메우다, 보상하다

 

 

댓글수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