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9월 모의_[ 고2 ]_22번
The importance of parents maintaining composure in parenting
❶ Most parents think that if our child would just “behave,” we could stay calm as parents.
❷ The truth is that managing our own emotions and actions is what allows us to feel peaceful as parents.
❸ Ultimately we can’t control our children or the obstacles they will face ― but we can always control our own actions.
❹ Parenting isn’t about what our child does, but about how we respond.
❺ In fact, most of what we call parenting doesn’t take place between a parent and child but within the parent.
❻ When a storm brews, a parent’s response will either calm it or trigger a full‐scale tsunami.
❼ Staying calm enough to respond constructively to all that childish behavior ― and the stormy emotions behind it ― requires that we grow, too.
❽ If we can use those times when our buttons get pushed to reflect, not just react, we can notice when we lose equilibrium and steer ourselves back on track.
❾ This inner growth is the hardest work there is, but it’s what enables you to become a more peaceful parent, one day at a time.
양육에 있어 부모의 평정심 유지의 중요성
❶ 대부분의 부모들은 그들의 자녀가 그저 “잘 행동하면” 부모로서 침착함을 유지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❷ 진실은 우리의 감정과 행동을 관리하는 것이 우리가 부모로서 평안함을 느끼도록 해준다는 것이다.
❸ 궁극적으로 우리는 우리의 자녀와 그들이 마주할 장애물을 통제할 수 없다. 하지만 우리는 항상 우리 자신의 행동을 통제할 수 있다.
❹ 양육은 우리 자녀가 무엇을 하는지에 대한 것이 아니라 우리가 어떻게 반응하는지에 대한 것이다.
❺ 사실, 우리가 양육이라고 부르는 것의 대부분은 부모와 자녀 사이가 아니라 부모 안에서 발생한다.
❻ 폭풍이 일어나려고 할 때, 부모의 반응은 그것을 잠재우거나 최대치의 해일을 유발할 것이다.
❼ 그 모든 아이 같은 행동 ― 그리고 그 이면의 폭풍 같은 감정 ― 에 건설적으로 반응할 수 있을 만큼 침착함을 유지하는 것은 우리 역시 성장해야 하는 것을 필요로 한다.
❽ 만약 우리가 단지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성찰하도록 버튼이 눌러지는 때를 사용할 수 있다면, 우리는 우리가 언제 평정심을 잃는지 알아차릴 수 있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갈 수 있다.
❾ 이러한 내면의 성장이 세상에서 가장 힘든 일이지만, 그것은 당신이 하루하루 더욱 평안한 부모가 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이다.
behave : 행동하다 stay calm : 침착함을 유지하다 managing : 관리하는 emotion. : 감정 allow : 허락하다 feel peaceful : 평화롭게 느끼다 allow us to feel peaceful : 우리가 평화롭게 느끼도록 해준다 ultimately : 궁극적으로 control : 통제하다 obstacle : 장애물 face : 직면하다 own action : 자신의 행동 the obstacles they will face : 그들이 직면할 장애물들 parenting : 육아 respond : 반응하다 what our child does : 우리 아이가 무엇을 하는지 how we respond : 우리가 어떻게 반응하는지 most of : 대부분 doesn’t take place : 발생하지 않는다 between : ~사이에 within : ~안에 storm brews : 폭풍이 일다 response : 반응 calm : 진정시키다 trigger : 유발하다 full‐scale : 전면적인 tsunami : 쓰나미 will either calm it or trigger : 그것을 진정시키거나 유발할 것이다 staying calm : 침착함을 유지하는 것 respond constructively : 건설적으로 반응하다 childish behavior : 유치한 행동 stormy emotions : 격렬한 감정들 buttons get pushed : 감정이 건드려지다 reflect : 숙고하다 react : 반응하다 lose equilibrium : 균형을 잃다 steer : 조종하다 back on track : 정상 궤도로 돌아가다 when our buttons get pushed : 우리의 감정이 건드려질 때 to reflect, not just react : 그냥 반응하지 않고 숙고하기 위해 inner growth : 내적 성장 hardest work : 가장 힘든 일 enables : 가능하게 하다 more peaceful : 더 평화로운 one day at a time : 하루에 한 번씩 this inner growth : 이 내적 성장 the hardest work there is : 존재하는 가장 힘든 일 enable you to become : 당신이 ~이 되도록 가능하게 한다 a more peaceful parent : 더 평화로운 부모 one day at a time : 하루에 한 번씩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