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1 ]_11월 (2020)__[ 29번 ][ 고1_11월 ]/[ 고1_11월 (2020) ] 모의고사 읽기 2020. 11. 25. 01:00
❶ Each species of animals can detect a different range of odours.
❷ No species can detect all the molecules that are present in the environment in which it lives ― there are some things that we cannot smell but which some other animals can, and vice versa.
❸ There are also differences between individuals, relating to the ability to smell an odour, or how pleasant it seems.
❹ For example, some people like the taste of coriander ― known as cilantro in the USA ― while others find it soapy and unpleasant.
❺ This effect has an underlying genetic component due to differences in the genes controlling our sense of smell.
❻ Ultimately, the selection of scents detected by a given species, and how that odour is perceived, will depend upon the animal’s ecology.
❼ The response profile of each species will enable it to locate sources of smell that are relevant to it and to respond accordingly.❶ 각 종의 동물들은 서로 다른 범주의 냄새를 감지할 수 있다.
❷ 어떤 종도 그것이 살고 있는 환경에 존재하는 모든 분자를 감지할 수는 없는데, 우리는 냄새를 맡을 수 없지만 몇몇 다른 동물들은 냄새를 맡을 수 있는 몇 가지 것들이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있다.
❸ 어떤 냄새를 맡을 수 있는 능력이나 그것이 얼마나 좋은 느낌을 주는지와 관련된 개체들 사이의 차이 역시 존재한다.
❹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은 미국에서 고수(cilantro)라고 알려진 고수(coriander)의 맛을 좋아하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그것이 비누 맛이 나고 불쾌하다고 여긴다.
❺ 이러한 결과에는 우리의 후각을 조절하는 유전자 차이로 인한 내재된 유전적 요소가 있다.
❻ 궁극적으로, 특정 종에 의해 감지된 냄새들의 집합 그리고 그 냄새가 어떻게 인식되는가는 그 동물의 생태에 달려 있을 것이다.
❼ 각 종의 반응 도표는 그 종이 자신과 관련된 냄새의 원천을 찾고 그에 따라 반응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고1_11월 ] > [ 고1_11월 (2020) ] 모의고사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고1 ]_11월 (2020)__[ 31번 ] (0) 2020.11.25 [ 고1 ]_11월 (2020)__[ 30번 ] (0) 2020.11.25 [ 고1 ]_11월 (2020)__[ 24번 ] (0) 2020.11.25 [ 고1 ]_11월 (2020)__[ 22번 ] (0) 2020.11.25 [ 고1 ]_11월 (2020)__[ 21번 ] (0) 2020.1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