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15강]__[practice 2]_[EBS_올림포스_기본]
    EBS_올림포스_기본1/[15강]__[EBS_올림포스_기본1] 2022. 11. 5. 19:39

    ❶ According to philosopher Radcliffe Richards, it is incoherent to think that something’s real nature is revealed when it is in its correct environment.

    ❷ First of all, the whole notion of a ‘correct environment’ is problematic.

    ❸ Isn’t the notion of what is correct relative to various concerns?

    ❹ The correct environment for a salmon when cooking one is perhaps a heated oven.

    ❺ The correct environment for its spawning is something else again.

    ❻ But more importantly, to know something’s nature is to know how it is in a variety of environments.

    ❼ Iron’s nature, for example, is most fully understood if we know how it behaves when it is hot, cold, smashed, left in water, and so on.

    ❽ Knowing how iron behaves when left in conditions optimal to its continued, unchanged existence only gives a partial view of its nature.

     

     

    ➔ ❾ The notion of ‘correct environment’ is improper in understanding something’s nature, but its behavior in various conditions best reveals its nature.

     

     

    ❶ 철학자인 Radcliffe Richards에 의하면 뭔가의 진정한 특성은 그것이 자신에게 정확하게 맞는 환경에 있을 때 드러난다고 생각하는 것은 (논리적으로) 일관성이 없다.    

    ❷ 먼저, ‘정확한 환경’이라는 전체 개념이 문제이다. 

    ❸ 정확한 것이라는 개념은 다양한 상황에 따라 상대적이지 않은가? 

     

    ❹ 연어를 요리할 때 그것에 정확하게 맞는 환경은 아마도 달구어진 오븐일 것이다. 

    ❺ 연어의 산란에 정확하게 맞는 환경은 또다시 다른 무엇인가이다. 

    ❻ 그러나 더 중요하게, 뭔가의 특징을 아는 것은 그것이 다양한 환경 속에서 어떻게 존재하는지를 아는 것이다. 

     

    ❼ 예를 들어 쇠의 특징은 그것이 뜨거울 때, 차가울 때, 두드려졌을 때, 물속에 두었을 때 등에서 그것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우리가 알 때 가장 잘 이해된다. 

    ❽ 지속적이고 변화하지 않는 상태의  쇠에 최적인 환경들에 쇠를 두었을 때 그것이 어떻게 행동하는지를 아는 것은 그것의 특성에 대해 부분적인 시각만 줄 뿐이다. 

     

     

    ➔ ❾ ‘정확한 환경’이라는 개념은 뭔가의 특징을 이해하는 데 부적절하지만, 다양한 조건에서의 그것의 행동은 그것의 특징을 가장 잘 드러낸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