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22년 3월 모의_[ 고2 ]_23번[ 고2_3월 ]/[ 고2_3월 (2022) ] 모의고사 읽기 2023. 4. 12. 03:15
Misconceptions about race as a biological construct
❶ Individual human beings differ from one another physically in a multitude of visible and invisible ways.❷ If races — as most people define them — are real biological entities, then people of African ancestry would share a wide variety of traits while people of European ancestry would share a wide variety of different traits.
❸ But once we add traits that are less visible than skin coloration, hair texture, and the like, we find that the people we identify as “the same race” are less and less like one another and more and more like people we identify as “different races.”
❹ Add to this point that the physical features used to identify a person as a representative of some race (e.g. skin coloration) are continuously variable, so that one cannot say where “brown skin” becomes “white skin.”
❺ Although the physical differences themselves are real, the way we use physical differences to classify people into discrete races is a cultural construction.
* entity 실체
** discrete 별개의
생물학적 구성물로서의 인종에 대한 오해
❶ 개별 인간은 많은 가시적이고 비가시적인 면에서 신체적으로 서로 다르다.
❷ 대부분의 사람이 그것을 정의하듯이, 인종이 정말 생물학적 실체라면, 아프리카계 혈통인 사람들은 매우 다양한 특성을 공유하는 한편, 유럽계 혈통인 사람들은 매우 다양한 ‘다른’ 특성을 공유할 것이다.
❸ 하지만 우리가 피부색, 머릿결 등등 보다 덜 가시적인 특성들을 추가해 보면, 우리가 ‘같은 인종’이라고 식별하는 사람들이 서로 점점 덜 닮았고 우리가 ‘다른 인종’이라고 식별하는 사람들과 더욱더 닮았다는 것을 알게 된다.
❹ 어떤 사람을 어떤 인종의 전형이라고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신체적 특성 (예를 들어, 피부색)이 지속적으로 변할 수 있어서 어디서 ‘갈색 피부’가 ‘흰 피부’가 되는지를 말할 수 없는 것을 이 점에 추가해 보라.
❺ 비록 신체적 차이 그 자체가 실재하더라도, 사람들을 별개의 인종으로 분류하기 위해 우리가 신체적 차이를 사용하는 방식은 문화적 구성이다.
***************************
사람들은 겉모습이 서로 다르고, 그 차이는 눈에 보이는 것도 있고, 보이지 않는 것도 있어요. 만약 우리가 "인종"이라고 부르는 것이 정말로 생물학적으로 구분되는 것이라면, 아프리카 출신의 사람들은 비슷한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고, 유럽 출신의 사람들도 서로 비슷한 특징을 많이 가지고 있을 거예요.
그런데 피부색이나 머리카락 같은 겉모습 말고, 다른 특징들을 살펴보면, 우리가 같은 인종이라고 생각했던 사람들이 실제로는 서로 그렇게 비슷하지 않고, 오히려 우리가 다른 인종이라고 생각했던 사람들과 더 비슷할 때가 많아요. 그리고 피부색 같은 신체적인 특징은 서서히 변하기 때문에, "갈색 피부"가 어디서 "흰 피부"로 바뀌는지 정확하게 나누기 어려워요.
결국, 사람들의 신체적인 차이는 실제로 존재하지만, 우리가 그 차이를 기준으로 사람들을 인종으로 나누는 방식은 사실 우리가 만들어낸 문화적인 것이라는 거예요.
******************************
individual : 개별의, 개인의
human beings : 인간
physically : 신체적으로
multitude : 다수
visible : 보이는
invisible : 보이지 않는
differ from one another : 서로 다르다
in a multitude of : 다양한
visible and invisible ways : 보이는 방식과 보이지 않는 방식으로
define : 정의하다
biological entities : 생물학적 존재
ancestry : 조상, 혈통
wide variety : 다양한
trait : 특성
people of African ancestry : 아프리카 혈통의 사람들
people of European ancestry : 유럽 혈통의 사람들
less visible : 덜 보이는
skin coloration : 피부 색
hair texture : 머리카락의 질감
identify : 식별하다
less and less : 점점 더 적게
more and more : 점점 더 많이
different races : 다른 인종들
add traits that are less visible : 덜 보이는 특성을 추가하다
skin coloration and hair texture : 피부 색과 머리카락의 질감
identify as “the same race” : "같은 인종"으로 식별하다
less and less like one another : 서로 점점 덜 닮아가다
more and more like people : 사람들과 점점 더 닮아가다
different races : 다른 인종들
add to this point : 이 점에 추가하다
physical features : 신체적 특징
representative : 대표
continuously variable : 계속 변하는
add to this point that : 이 점에 추가하여
physical features used to identify :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신체적 특징
representative of some race : 어떤 인종의 대표자
continuously variable : 계속 변하는
where “brown skin” becomes “white skin” : "갈색 피부"가 "흰 피부"가 되는 곳
although : 비록 ~이지만
physical differences : 신체적 차이
classify : 분류하다
discrete : 별개의
cultural construction : 문화적 구성
the way we use physical differences : 우리가 신체적 차이를 사용하는 방식
classify people : 사람들을 분류하다
into discrete races : 별개의 인종으로
a cultural construction : 문화적 구성'[ 고2_3월 ] > [ 고2_3월 (2022) ] 모의고사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년 3월 모의_[ 고2 ]_21번 (0) 2023.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