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강]_[practice 2]_[EBS_리딩파워_완성]EBS_리딩파워_완성/[12강]__[EBS_리딩파워_완성] 2023. 4. 23. 17:59
[ Other Ways to Make Your Baby Laugh ]
❶ Although the development of smiling and laughter is similar across cultures, the behaviors that parents use to elicit smiling do vary.
❷ For example, American mothers rely largely on toys and objects to elicit smiling from their infants, whereas Japanese mothers are likely to engage infants in social stimulation.
❸ Mothers in both cultures are equally effective in eliciting these smiles, but they do it in different ways (using toys versus using touch or physical contact) because of different culture-based parenting goals.
❹ In the United States, mothers place high value on promoting autonomy and independent exploration of the object world.
❺ Japanese mothers, in contrast, place high value on strengthening mutual dependency and making the infant an extension of themselves.
❻ Thus, they engage their infants differently.
[ 아기의 웃음을 이끌어 내는 다른 방식 ]
❶ 미소와 웃음의 발달은 문화권을 통틀어 유사하지만, 미소를 이끌어 내기 위해 부모가 사용하는 행동은 정말 다르다.
❷ 예를 들어, 미국 어머니들은 아기에게서 미소를 이끌어 내기 위해 주로 장난감과 물건에 의존하는데, 반면 일본 어머니들은 아기를 사회적 자극에 끌어들이는 경향이 있다.
❸ 두 문화의 어머니들은 이러한 미소를 이끌어 내는 데 똑같이 유능하지만, 서로 다른 문화에 바탕을 둔 양육 목표 때문에 그것을 다른 방식으로 하는 것이다(장난감 사용 대 촉각 혹은 신체적 접촉 사용).
❹ 미국의 어머니들은 자율성과 대상 세계에 대한 독립적인 탐구의 증진을 중시한다.
❺ 대조적으로, 일본의 어머니들은 상호 의존성을 강화하고 아기를 자신의 연장 부분이 되도록 하는 것을 중시한다.
❻ 따라서 그들은 다른 방식으로 아기의 관심을 끈다.
* elicit 이끌어 내다
laughter 웃음
vary 다르다
infant 아기, 유아
engage A in B A를 B에 끌어들이다social stimulation 사회적 자극(다른 사람을 자극하기 위한 언어적·신체적 행동)
equally 똑같이
versus ~대, ~와 대조되어
physical 신체의
contact 접촉
parenting 양육, 육아
promote 증진하다, 장려하다
autonomy 자율성
independent 독립적인
exploration 탐구
object world 대상 세계(대상을 통하여 인지되는, 자신을 제외한 세계)
mutual 상호의
dependency 의존
extension 연장 부분, 연장
'EBS_리딩파워_완성 > [12강]__[EBS_리딩파워_완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12강]_[practice 4]_[EBS_리딩파워_완성] (0) 2023.04.23 [12강]_[practice 3]_[EBS_리딩파워_완성] (0) 2023.04.23 [12강]_[practice 1]_[EBS_리딩파워_완성] (0) 2023.04.23 [12강]_[EX 2]_[EBS_리딩파워_완성] (0) 2023.04.12 [12강]_[EX 1]_[EBS_리딩파워_완성] (0) 2023.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