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강]_[practice 3]_[EBS_리딩파워_완성]EBS_리딩파워_완성/[ 2강]__[EBS_리딩파워_완성] 2023. 4. 12. 10:37
[ People who tend to evaluate themselves more than they really are ]
❶ The average person’s belief about themselves is, in general, flattering.
❷ A large majority of the public believe that they are more intelligent and fair-minded, better describers and less prejudiced than the average person.
❸ This is as true of the general public as it is of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professors.
❹ This set of beliefs is known as the ‘Lake Wobegon’ effect, after a fictional community in the stories by Garrison Keillor, where all the children are above average.
❺ Again, a survey of high school seniors in the USA found that 70 percent thought they had above-average leadership qualities and only 2 percent believed they were below the average.
❻ And of university professors, 94 percent thought they were better at their jobs than their average colleague.
[ 자신을 실제 이상으로 평가하는 성향의 사람들 ]
❶ 일반적으로 자신에 대한 보통 사람의 믿음은 실제보다 돋보인다.
❷ 일반 대중의 대다수는 자신들이 보통 사람보다 더 지적이고 공정하며, 설명을 더 잘하고 덜 편파적이라고 믿는다.
❸ 이것은 대학생들과 그들의 교수들과 마찬가지로 일반 대중에게도 적용된다.
❹ 이러한 일련의 믿음은 Garrison Keillor가 쓴 소설들 속에 나오는 가공의 공동체를 본떠 ‘Lake Wobegon’ 효과로 알려져 있는데, 거기에서는 모든 아이들이 평균 이상이다.
❺ 그리고 또, 미국의 고등학교 졸업반 학생들에 대한 조사는, 70퍼센트가 자신들이 평균 이상의 지도력 자질을 가지고 있으며 겨우 2퍼센트만 자신들이 평균 이하라고 믿는다는 것을 밝혀냈다.
❻ 그리고 대학교수들 중에서는 94퍼센트가 자신들이 보통의 동료보다 일을 더 잘한다고 생각했다.
flattering 실제보다 돋보이는, 아첨하는
majority 대다수
public 일반 사람들, 대중
intelligent 지적인
fair-minded 공정한
describer 설명하는 사람
prejudiced 편파적인, 편견을 가진
effect 효과, 영향
fictional 가공의, 허구의
community 공동체, 지역 사회
again 그리고 또
survey 조사; 조사하다
colleague 동료
'EBS_리딩파워_완성 > [ 2강]__[EBS_리딩파워_완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 2강]_[practice 1]_[EBS_리딩파워_완성] (0) 2023.04.19 [ 2강]_[practice 4]_[EBS_리딩파워_완성] (0) 2023.04.12 [ 2강]_[practice 2]_[EBS_리딩파워_완성] (0) 2023.04.12 [ 2강]_[EX 2]_[EBS_리딩파워_완성] (0) 2023.04.12 [ 2강]_[EX 1]_[EBS_리딩파워_완성] (0) 2023.04.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