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2023년 6월 모의_[ 고2 ]_29번
    [ 고2_6월 ]/[고2_6월 (2023) ] 모의고사 읽기 2023. 6. 29. 10:28

     

     The problem of social desirability bias among the pollution caused by distortion of self-report 

    ❶ Research psychologists often work with self-report data, made up of participants’ verbal accounts of their behavior.

    ❷ This is the case whenever questionnaires, interviews, or personality inventories are used to measure variables.

    ❸ Self-report methods can be quite useful.

    ❹ They take advantage of the fact that people have a unique opportunity to observe themselves full-time.

    ❺ However, self-reports can be plagued by several kinds of distortion.

    ❻ One of the most problematic of these distortions is the social desirability bias, which is a tendency to give socially approved answers to questions about oneself.

    ❼ Subjects who are influenced by this bias work overtime trying to create a favorable impression, especially when subjects  are asked  about sensitive issues.

    ❽ For example, many survey respondents will report that they voted in an election or gave to a charity when in fact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at they did not.

     

     

     

     

     

     자기 보고의 왜곡으로 인한 오염들 중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 문제 

    ❶ 연구 심리학자들은 종종 자기 보고 데이터로 작업을 하는데, 이는 참가자들의 행동에 대한 구두 설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❷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지, 면접 또는 성격 목록이 사용될 때마다 이에 해당한다.

    ❸ 자기 보고 방법은 꽤 유용할 수 있다.

    ❹ 그것들은 사람들이 자신을 풀타임으로 관찰할 수 있는 유일한 기회를 가진다는 사실을 이용한다.

    ❺ 그러나, 자기 보고는 몇 가지 종류의 왜곡으로 인해 오염될 수 있다.

    ❻ 이러한 왜곡 중 가장 문제가 되는 하나는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인데, 이것은 사회적으로 승인된 답을 자신에 관한 질문에 제공하는 경향이다.

    ❼ 이러한 편향에 영향을 받은 피실험자들은 특히 민감한 문제에 대해 질문받을 때 호의적인 인상을 만들기 위해 추가적으로 노력한다.

    ❽ 예를 들어, 많은 설문 조사 응답자들은 사실은 하지 않았다고 결정하는 것이 가능할 때 선거에서 투표했다거나 자선 단체에 기부했다고 보고할 것이다.

     

     

     

     

     

     

    ******************

     

    연구 심리학자들은 사람들이 자신의 행동에 대해 말한 내용을 가지고 연구를 많이 해요.  설문지, 인터뷰, 성격 검사 같은 방법을 사용할 때 이런 정보를 얻어요.   자기 자신에 대해 말하는 방법은 꽤 유용할 수 있어요.   왜냐하면 사람들은 자신을 항상 관찰할 수 있는 특별한 기회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에요.

    하지만 사람들이 스스로 말하는 내용에는 여러 가지 왜곡이 생길 수 있어요.  그 중에서 가장 큰 문제는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이라는 것이에요. 이건 사람들이 자신에 대해 다른 사람들이 좋아할 만한 답변을 하려고 하는 경향을 말해요.   이 편향에 영향을 받는 사람들은, 특히 민감한 질문을 받을 때, 좋은 인상을 주기 위해 답변을 꾸며요.   예를 들어, 어떤 사람들이 설문 조사에서 자신이 투표를 했거나 자선단체에 기부했다고 말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았을 때가 있답니다.

     

    **********************

     

     

    psychologist
    be made up of
    verbal
    account
    questionnaire
    personality
    inventory
    variable
    quite
    take advantage of
    observe
    be plagued by
    distortion
    social desirability
    bias
    tendency
    favorable
    impression
    especially
    respondent
    election
    charity
    determine
    심리학자
    ~로 구성되다
    구두의, 말의
    설명, 해설
    설문지
    성격
    목록
    변인, 변수
    꽤, 상당히
    이용하다
    관찰하다
    오염되다, 어려움을 겪다
    왜곡, 곡해
    사회적 바람직성
    편향, 편견
    경향, 추세
    호의적인, 유리한
    인상
    특히, 각별히
    응답자
    선거, 투표
    자선 단체
    결정하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