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3강]_[practice 2]_[EBS_리딩파워_기본]EBS_리딩파워_기본/[13강]__[EBS_리딩파워_기본] 2022. 11. 20. 00:00
❶ A child who hears a stern warning about the dangers of running in the street will have better self-esteem than a child who only hears that he’s a “bad boy” when he runs into the street.
❷ The child who’s a “bad boy” is getting the message that he and his behavior are not okay.
❸ He doesn’t learn the difference between what he does and what he is.
❹ As an adult, his inner critic will attack both his behavior and his worth.
❺ Parents who carefully distinguish between inappropriate behavior and the basic goodness of the child raise children who feel better about themselves and have a far gentler inner critic.
❶ 거리에서 뛰는 것의 위험성에 대해 엄중한 경고를 듣는 아이는, 거리로 달려 나갈 때 ‘나쁜 아이’라는 말만 듣는 아이보다 더 나은 자존감을 가질 것이다.
❷ ‘나쁜 아이’인 아이는, 자신과 자신의 행동이 좋지 않다는 메시지를 받고 있는 것이다.
❸ 그는 자신이 하는 일과 자신의 본 모습 사이의 차이에 대해 배우지 못한다.
❹ 어른이 되었을 때 그의 내부에 있는 비판자는, 자신의 행동과 자신의 가치 둘 다를 공격할 것이다.
❺ 부적절한 행동과 아이의 근본적인 선함을 조심스럽게 구별하는 부모들이, 자신들을 더 낫게 느끼며 훨씬 더 온화한 내면의 비판자를 갖는 자녀를 키운다.
****한 번 더 정리****
위험한 행동을 할 때, '나쁜 아이!'라는 말만 들은 아이는 자신의 본 모습도 좋지 않고, 자신의 행동도 좋지 않다는 메시지를 받는 것이다.
그리고, 그의 내부의 비판자는 그를 공격하게 된다.
하지만, 행동의 위험에 대해 엄격한 경고를 듣고, 부적절한 행동과 근본적인 선함을 구별받는 아이들이 더 나은 자존감을 가지며, 자신을 더 좋게 여기고, 훨씬 더 온화한 내면의 비판자를 갖게 된다.****rewrite****
When doing something dangerous, a child who has only heard "bad child!" receives a message that he or she is not good at his or her true self and that his or her behavior is not good.
Then, his inner critic attacks him.
However, children who are told strict warnings about the dangers of behavior and are taught to distinguish between inappropriate behavior and fundamental goodness, have better self-esteem and a much gentler inner critic.'EBS_리딩파워_기본 > [13강]__[EBS_리딩파워_기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13강]_[practice 4]_[EBS_리딩파워_기본] (0) 2022.11.20 [13강]_[practice 3]_[EBS_리딩파워_기본] (0) 2022.11.20 [13강]_[practice 1]_[EBS_리딩파워_기본] (0) 2022.11.20 [13강]_[EX]_[EBS_리딩파워_기본] (0) 2022.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