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1 ]_6월 (2019)__[ 21번 ][ 고1_6월 ]/[ 고1_6월 (2019) ] 모의고사 읽기 2020. 7. 14. 23:56
❶ For almost all things in life, there can be too much of a good thing.
❷ Even the best things in life aren’t so great in excess.
❸ This concept has been discussed at least as far back as Aristotle.
❹ He argued that being virtuous means finding a balance.
❺ For example, people should be brave, but if someone is too brave they become reckless.
❻ People should be trusting, but if someone is too trusting they are considered gullible.
❼ For each of these traits, it is best to avoid both deficiency and excess.
❽ The best way is to live at the “sweet spot” that maximizes wellbeing.
❾ Aristotle’s suggestion is that virtue is the midpoint, where someone is neither too generous nor too stingy, neither too afraid nor recklessly brave.
* excess 과잉 ** gullible 잘 속아 넘어가는
(* at the "sweet spot" = in the middle of two extremes )
almost
concept
discuss
at least
virtuous
brave
reckless
trusting
deficiency
maximize
virtue
midpoint
neither
generous
stingy거의
개념
논의하다, 토론하다
적어도
도덕적인, 미덕 있는
용감한
무모한, 난폭한
사람을 믿는
결핍, 부족, 결점
극대화하다
미덕, 선
중심점, 중앙점
둘 다 아닌
후한, 너그러운
인색한, 째째한# 행복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균형을 찾는 미덕❶ 인생의 거의 모든 것에는, 좋은 것에도 지나침이 있을 수 있다.
❷ 심지어 인생에서 최상의 것도 지나치면 그리 좋지 않다.❸ 이 개념은 적어도 아리스토텔레스 시대만큼 오래전부터 논의되어 왔다.
❹ 그는 미덕이 있다는 것은 균형을 찾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했다.
❺ 예를 들어, 사람들은 용감해져야 하지만, 만약 어떤 사람이 너무 용감하다면 그 사람은 무모해진다.
❻ 사람들은 (타인을) 신뢰해야 하지만, 만약 어떤 사람이 (타인을) 너무 신뢰한다면 그들은 잘 속아 넘어가는 사람으로 여겨진다.
❼ 이러한 각각의 특성에 있어, 부족과 과잉 둘 다를 피하는 것이 최상이다.
❽ 최상의 방법은 행복을 극대화하는 “sweet spot”에 머무르는 것이다
❾ 아리스토텔레스는 미덕은 너무 관대하지도 너무 인색하지도, 너무 두려워하지도 너무 무모하게 용감하지도 않은 중간 지점에 있다고 말한다.
https://www.youtube.com/watch?v=PrvtOWEXDIQ '[ 고1_6월 ] > [ 고1_6월 (2019) ] 모의고사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고1 ]_6월 (2019)__[ 30번 ] (0) 2020.07.14 [ 고1 ]_6월 (2019)__[ 29번 ] (0) 2020.07.14 [ 고1 ]_6월 (2019)__[ 24번 ] (0) 2020.07.14 [ 고1 ]_6월 (2019)__[ 23번 ] (0) 2020.07.14 [ 고1 ]_6월 (2019)__[ 22번 ] (0) 2020.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