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Today
Yesterday
Total
  • 고등영어_[능률김]__[6과]__본문(3)
    [ 고등 교과서]/영어__[ 능률김 (2015개정)] 2023. 8. 24. 12:09

     

    Luckily, John's role as chief engineer was succeeded by his son, Washington Roebling. 

     

    Because he had built bridges with his father and studied bridge construction in Europe, he believed in John's dream. 

     

    At that time, the foundations for the bridge's two towers were being built in the East River, which was extremely difficult and dangerous work. 

     

    Workers had to stay at the bottom of the river in a waterproof box with little light and constant danger. 

     

    Many died or were permanently injured by a serious disease called "the bends," including Washington Roebling. 

     

    In 1872, he developed this disease and was unable to move easily or visit the construction sites throughout the rest of the project.

     

    Other people would have quit at that point, but not Washington. 

     

    He continued to supervise the bridge building for years by watching it through a telescope from his bedroom. 

     

    However, there were still many things (that) he could not do despite all his efforts. 

     

    Once again, the project seemed likely to be abandoned.

     

     

     

     

    * the bends 잠함병, 잠수병, 케이슨병 (caisson[ diver’s ] disease ): 깊은 바닷속같이 높은 압력의 환경에 있다가 갑자기 보통 기압의 환경으로 되돌아올 때 일어나는 여러 가지 장애. 기압의 급격한 감소로 몸안에 녹아 있던 공기 중의 질소가 기포화하여 혈관, 뼈 등에 기포가 발생하여 일어난다.  관절통, 근육통, 피부 가려움, 호흡 곤란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 워싱턴 로블링, 아버지 존 로블링의 다리 건설 프로젝트를 이어감. 그리고 그에게 닥친 시련 ] 

     

    ➊ 다행히도, 수석 엔지니어로서의 John의 역할을 그의 아들인 Washington Roebling(워싱톤 로블링)이 이어갔다. 

    ❷ 그는 아버지와 함께 다리들을 건설했었고 유럽에서 교량 건설을 공부했었기 때문에, 그는 John의 꿈을 믿었다. 

    ❸ 그 당시에, 다리의 두 개의 탑을 위한 기반이 이스트 강에서 지어지고 있었는데, 이는 굉장히 어렵고 위험한 작업이었다. 

     

    ❹ 노동자들은 방수 처리된 함 안에서  불빛도 거의 없이 끊임없는 위험을 안은 채 강바닥에 머물러야 했다. 

    ❺ Washington Roebling을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잠함병”이라 불린 심각한 병에 의해 영구적인 부상을 당했다. 

    ➏ 1872년, 그는 잠함병에 걸렸고 남은 건설 기간 내내 쉽게 거동하거나 공사 현장을 방문할 수 없었다.

    ❼ 다른 사람들이라면 그 시점에서 포기했겠지만, Washington은 아니었다. 

    ❽ 그는 침실에서 망원경으로 다리 건설을 지켜보며 수년간 계속해서 감독했다. 

    ❾ 하지만, 그의 모든 노력에도 불구하고 그가 할 수 없는 일들이 여전히 많았다. 

    ❿ 또 다시, 다리 건설은 포기될 것처럼 보였다.

     

     

    Washington Roebling, circa 1899 by Théobald Chartran via wikicommons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