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5강]_[함축적의미]_[3번 ]EBS_2026수능특강 영어__[ PART 1 ]/[5강] 함축적 의미 2025. 2. 10. 23:54
❶ The primary impetus of scientific and technical innovation has been our increased ability to reach out and exchange ideas with others, as well as to borrow other people’s ideas, and blend them with our own to create something new.
❷ Combinatorial creativity is the acknowledgment that nothing is genuinely unique, at least not in the sense of being constructed entirely from scratch.
❸ That notion is met with considerable resistance in creative spaces.
❹ To create is to start with a blank canvas.
❺ However, much data exists to support this ecosystem of influences and inspirations.
❻ Nina Paley, an artist, shot and animated ancient relics from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to illustrate her point that all creation is derivative.
❼ Every work of art is a derivative work.
❽ In animation, Oliver Laric examines the reappropriation of images in his video essay “Versions” by looking at how Disney recycles animation.
❾ Creativity is the original open-source code.
* impetus 동력
** relic 유물
*** reappropriation 재전유[再專有](기존의 것이 다른 의미로 쓰임)
[ 창의성의 본질 ]
❶ 과학적, 기술적 혁신의 주요 동력은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고 아이디어를 교환하는, 아울러 다른 사람들의 아이디어를 빌려 그것을 우리 자신의 아이디어와 혼합하여 새로운 것을 창조하는 우리 능력의 향상이었다.
❷ 결합적 창의성은 적어도 완전히 맨 처음 부터 고안된 것이 아니라는 점에서 진정으로 독특한 것은 없다는 것을 인정하는 것이다.
❸ 그러한 개념은 창조적인 공간에서 상당한 저항에 부딪힌다.
❹ 창조한다는 것은 빈 캔버스에서 시작하는 것이다.
❺ 그러나 이러한 영향과 영감의 생태계를 지원하는 많은 데이터 가 존재한다.
❻ 예술가 Nina Paley(니나 페일리)는 메트로폴리탄 미술관의 고대 유물을 촬영하고 애니메이션으로 제작하여 모든 창작은 파생적이 라는 자신의 주장을 실제로 보여 주었다.
❼ 모든 예술 작품은 파생 작품이다.
❽ 애니메이션 분야에서 Oliver Laric(올리버 래릭)은 자신의 비디오 에세이 ‘Versions’에서 디즈니가 애니메이션을 재활용하는 방법을 살펴봄으로써 이미지의 재전유를 고찰한다.
❾ 창의성은 본래 오픈 소스 코드이다.
[ 창의성의 본질 (Nature of Creativity) ]
❶ 혁신의 주요 동력 (Primary Impetus of Innovation)
▪️ 타인과의 소통 및 아이디어 교환 (Reach out and exchange ideas)
▪️ 아이디어 차용 및 혼합을 통한 창조 (Borrowing & blending ideas)
❷ 결합적 창의성 (Combinatorial Creativity)
▪️ 완전한 독창성은 없음 (Nothing genuinely unique)
▪️ 모든 창의성은 기존의 결합에서 출발 (Not created entirely from scratch)
❸ 결합적 창의성에 대한 저항 (Resistance to Combinatorial Creativity)
▪️ 창조적 공간에서 상당한 저항 (Considerable resistance in creative spaces)
❹ 창조에 대한 일반적 관념 (General Idea of Creation)
▪️ 빈 캔버스에서 출발 (Start with a blank canvas)
❺ 결합적 창의성을 뒷받침하는 데이터 (Supporting Data)
▪️ 영향과 영감의 생태계를 뒷받침하는 데이터 존재 (Data supporting ecosystem of influences & inspirations)
❻ 예술에서의 창작의 파생성 사례 (Example in Art: Derivative Creation)
▪️ 니나 페일리: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유물 활용 (Nina Paley: Animated relics from the Metropolitan Museum)
▪️ 모든 창작은 파생적임을 시각적으로 제시 (All creation is derivative)
❼ 예술의 본질적 파생성 (All Art is Derivative)
▪️ 모든 예술 작품은 파생 작품 (Every work of art is derivative)
❽ 애니메이션 속 이미지 재전유 사례 (Reappropriation in Animation)
▪️ 올리버 래릭: 디즈니 애니메이션 재활용 연구 (Oliver Laric: Disney recycling animation)
▪️ 이미지의 재전유 개념 고찰 (Examines reappropriation of images)
❾ 창의성의 본질적 개방성 (Creativity as Open-source)
▪️ 창의성은 본래 오픈 소스 코드 (Creativity is original open-source code)* [ All Creative Work Is Derivative ] Nina Paley(니나 페일리)
https://www.youtube.com/watch?v=jcvd5JZkUXY&t=108s
* [ Versions ] Oliver Laric(올리버 래릭)
https://www.youtube.com/watch?v=pAcdMrqnCTY
'EBS_2026수능특강 영어__[ PART 1 ] > [5강] 함축적 의미' 카테고리의 다른 글
[5강]_[함축적의미]_[4번 ] (0) 2025.02.10 [5강]_[함축적의미]_[2번 ] (0) 2025.02.10 [5강]_[함축적의미]_[1번 ] (0) 2025.02.10 [5강]_[함축적의미]_[Gateway] (0) 2025.02.10